시급 → 월급 계산기
시급을 월급으로 간단히 환산하세요. 무료, 즉시 결과, 지역 숫자 형식 친화.
숫자 형식
숫자 결과가 표시되는 방식을 선택하세요. 선택한 소수 구분 기호(점 또는 쉼표)는 입력 숫자 해석에도 사용됩니다.
결과를 클릭하여 복사하세요
시급에서 월급으로 — 기본 개념
이 페이지는 시급 기준의 임금을 월급으로 환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계산은 세금 및 사회보험 공제 전의 총액 기준을 가정하며, 특정 지역 제도와 무관하게 참고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지급액은 근무일수, 휴일, 수당, 초과근무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계산 방법
시급을 월급으로 바꾸려면 월간 근무 시간을 어떻게 설정할지가 핵심입니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 주 단위 계산
월급 = 시급 × 주당 근무시간 × 52 ÷ 12
연간 52주를 12개월로 나눈 평균(약 4.33주/월)을 사용합니다. - 일수 기반 계산
월급 = 시급 × 1일 근무시간 × 월 근무일수
달마다 실제 근무일수 차이를 반영할 때 유용합니다.
정확도를 높이는 요소
- 주당 근무시간: 예) 20, 30, 40시간
- 초과근무·할증: 해당 시간이 있다면 별도로 가산
- 휴무일·무급휴가: 평균치를 쓰면 단순화되지만, 장기휴가는 개별 반영 필요
- 고정 수당: 월급에 합산
- 공제: 여기서는 공제 전 총액, 실수령액은 별도 계산 필요
계산 예시
예시 1 — 풀타임
시급 = 15,000, 주 40시간 근무, 주 단위 계산
월급 = 15,000 × 40 × 52 ÷ 12 ≈ 15,000 × 173.33 ≈ 2,599,950
예시 2 — 파트타임
시급 = 12,000, 주 24시간 근무
월급 = 12,000 × 24 × 52 ÷ 12 ≈ 12,000 × 104.00 ≈ 1,248,000
예시 3 — 일수 기반
시급 = 14,000, 1일 6시간, 월 22일 근무
월급 = 14,000 × 6 × 22 = 1,848,000
환산 참고표 (주 단위 기준)
월 평균 4.33주를 기준으로 계산한 값입니다.
시급 | 주 20시간 | 주 30시간 | 주 40시간 |
---|---|---|---|
10,000 | 약 866,700 | 약 1,300,050 | 약 1,733,400 |
12,000 | 약 1,040,040 | 약 1,560,060 | 약 2,080,080 |
15,000 | 약 1,300,050 | 약 1,950,075 | 약 2,600,100 |
20,000 | 약 1,733,400 | 약 2,600,100 | 약 3,466,800 |
25,000 | 약 2,166,750 | 약 3,251,250 | 약 4,335,000 |
초과근무 및 할증 반영
추가 근무가 있다면 기본급 계산에 할증분을 더합니다.
기본 월급 = 시급 × 기본시간(주×52÷12 등) 할증분 = 시급 × 할증률 × 할증시간 총 월급 = 기본 월급 + 할증분
연봉 환산하기
연봉은 단순히 월급 × 12로 계산한 후, 상여금이나 추가 수당이 있다면 합산합니다. 혹은 시급 × 연간 총 근무시간으로 직접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입력 팁
- 주당 근무시간은 실근무 기준으로 입력
- 근무시간이 일정하지 않다면 최근 3~6개월 평균 사용
- 교통비·식대 등 고정수당은 별도 합산
- 실수령액을 원할 경우 공제 항목을 반영
자주 묻는 질문
4.33주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1년은 52주, 이를 12개월로 나누면 약 4.33주/월이 됩니다. 월별 차이를 평균화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수령액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여기서는 공제 전 금액만 계산합니다. 실수령액은 세금, 4대 보험 등 공제를 반영해야 합니다.
근무시간이 달마다 다르면 어떻게 계산하나요?
직전 수개월 평균을 사용하거나, 달별로 따로 계산한 뒤 평균을 내면 됩니다.
고정수당은 어디에 포함되나요?
환산된 월급에 교통비, 식비 등 고정수당을 별도로 합산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