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올림 계산기
숫자를 소수 자리수, 유효숫자, 10/100/1000 단위, 올림/내림, 정수로 빠르게 반올림하세요. 무료 도구이며 즉시 계산되고, 쉼표·점·공백 등 지역 숫자 형식을 지원합니다.
숫자 형식
숫자 결과가 표시되는 방식을 선택하세요. 선택한 소수 구분 기호(점 또는 쉼표)는 입력 숫자 해석에도 사용됩니다.
반올림 계산기 (Rounding Calculator)는 원하는 자리수로 숫자를 반올림해 줍니다. 소수점 자리, 유효숫자, 가장 가까운 정수, 십 단위, 백 단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청구서, 측정값, 평균 점수 등 깔끔하고 비교하기 쉬운 숫자가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반올림은 숫자를 더 간단한 값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중요한 것은 어떤 규칙(사사오입, 짝수 반올림, 올림, 내림, 절사)을 적용할지와 목표 자리수를 정하는 것입니다.
사용 방법
- 숫자 입력: 음수와 과학적 표기(
3.27e5
등)도 가능합니다. - 정밀도 선택:
- 소수점 자리 (예: 0, 1, 2, 3…)
- 유효숫자 (예: 1~10 이상)
- 가까운 단위 (일, 십, 백, 천 단위)
- 반올림 규칙 선택:
- 사사오입 (half up): 0.5는 올림
- 짝수 반올림 (half to even): 0.5는 가까운 짝수로 반올림 (누적 편향 줄임)
- 올림 (ceiling): +∞ 방향
- 내림 (floor): −∞ 방향
- 절사 (truncate): 단순히 잘라내기
-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 결과 확인. 원래 숫자와의 차이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팁: 대규모 데이터 합계나 평균을 다룰 때는 짝수 반올림을 사용하면 결과가 더 균형 잡힙니다.
반올림의 기본 개념
- 소수점 자리: 소수점 뒤 몇 자리까지 남길지 선택. 예:
12.345
→ 소수 둘째 자리 반올림 =12.35
. - 유효숫자: 전체 숫자에서 의미 있는 자리만 유지. 측정값, 과학 데이터에 유용.
- 가까운 단위: 추정치나 요약에 적합. 예: 인구
23,000
.
0.5 처리 방식:
- 사사오입: 2.5 → 3, 3.5 → 4
- 짝수 반올림: 2.5 → 2, 3.5 → 4
예시
가격 (소수점 자리)
12.994
→ 소수 둘째 자리 (사사오입) = 12.99
12.995
→ 소수 둘째 자리 (사사오입) = 13.00
12.995
→ 소수 둘째 자리 (짝수 반올림) = 13.00
측정값 (유효숫자)
0.004567
→ 유효숫자 2자리 = 0.0046
15678
→ 유효숫자 3자리 = 15,700
가까운 단위
2,348
→ 백 단위 (사사오입) = 2,300
2,550
→ 백 단위 (짝수 반올림) = 2,600
음수 처리
-2.3
→ 내림 = -3, 올림 = -2
빠른 참고 표
원래 값 | 0자리 | 1자리 | 2자리 | 3자리 |
---|---|---|---|---|
12.994 | 13 | 13.0 | 12.99 | 12.994 |
12.995 | 13 | 13.0 | 13.00 | 12.995 |
2.5 | 3 | 2.5 | 2.50 | 2.500 |
-2.5 | -2 | -2.5 | -2.50 | -2.500 |
원래 값 | 가까운 10 | 가까운 100 | 가까운 1,000 |
---|---|---|---|
245 | 240 | 200 | 0 |
250 | 250 | 300 | 0 |
1,450 | 1,450 | 1,400 | 1,000 |
유효숫자 설명
- 앞의 0은 세지 않음:
0.004560
→ 유효숫자 4개 (4, 5, 6, 0). - 중간의 0은 포함:
105
→ 유효숫자 3개. - 소수점 뒤의 0은 포함:
2.300
→ 유효숫자 4개. - 정수에서 끝의 0: 애매할 수 있음 → 과학적 표기 사용 권장:
2.30 × 103
→ 유효숫자 3개2.3 × 103
→ 유효숫자 2개
예: 0.004567
→ 유효숫자 2자리 = 0.0046. 15678
→ 유효숫자 3자리 = 15,700.
정확하고 일관된 반올림을 위한 팁
- 규칙을 정하고 유지: 특히 0.5 처리 방식에서 중요.
- 계산 마지막 단계에서 반올림: 중간 계산에서 반올림하면 오차가 누적될 수 있음.
- 유효숫자 맞추기: 측정 도구의 정밀도에 맞춰 사용.
- 단위 표시: 반올림된 값과 함께 단위를 명확히 표시.
- 규칙 기록: 예: “소수 둘째 자리, 짝수 반올림”.
자주 묻는 질문 (FAQ)
어떤 반올림 규칙을 써야 하나요?
일상적인 경우는 사사오입이 익숙합니다. 금융이나 통계, 대규모 합계 계산에는 짝수 반올림이 더 적합합니다.
소수점 자리와 유효숫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소수점 자리는 소수점 뒤의 자리수를 세고, 유효숫자는 전체 숫자에서 의미 있는 자리수를 셉니다. 돈이나 서식에는 소수점 자리를, 과학 측정에는 유효숫자를 주로 사용합니다.
반올림이 합계나 평균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항목별로 먼저 반올림한 뒤 합산하면, 합계를 먼저 계산하고 한 번만 반올림한 경우와 다를 수 있습니다. 보고서에서는 합계를 먼저 계산한 후 마지막에 반올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음수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는 규칙은 동일합니다. 다만 올림/내림의 방향을 기억하세요: 올림은 +∞, 내림은 −∞.
짝수 반올림이란 무엇인가요?
0.5인 경우 가장 가까운 짝수 자리로 반올림합니다. 이렇게 하면 대규모 데이터에서 편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과학적 표기를 지원하나요?
네, 6.022e23
이나 3.5e-4
같은 형식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규칙에 맞춰 반올림됩니다.
중간 계산에서도 반올림해야 하나요?
가능하면 피하세요. 중간값은 최대한 정확히 유지하고 마지막 결과에서만 반올림하는 것이 좋습니다.
끝자리의 0은 어떻게 보나요?
2.50
과 2.5
는 같은 값이지만, 2.50
은 더 정밀한 값을 의미합니다. 맥락에 따라 표시 여부를 결정하세요.